분류 전체보기 (99) 썸네일형 리스트형 근거와 무근거 그가 옳을리 없다 왜냐하면 그는 우리에게 유해하므로... 모든 국가와 신분, 결혼, 교육, 법률 등 사회질서에서 이것은 모두 그것들에 대한 속박된 정신의 신앙에서만 힘과 영속성을 갖는다. 즉 근거가 없는 일, 적어도 근거를 묻지 않을 경우에만 힘과 영속성을 갖는다. 가스라이팅은 1938년 스릴러 영화 가스등에서 유래한 정신적 학대를 의미하는 말이다. 극중에서 남편이 아내를 조종하여 현실감각과 판단력을 상실시켜 자신의 의도대로 행동하도록 만든다는 내용에서 왔다. 속박된 정신과 가스라이팅은 인간의 사고와 행동을 제한한다. 자유롭고 주체적인 존재가 되기 위해서는 근거없는 일들에 대한 믿음과 신념을 의심함으로써 속박된 정신에서 벗어나야 한다. 삶을 가볍게 하는 것 삶의 짐을 덜어주기 위한 주요 수단은 삶의 모든 사상의 이상화이다. 자기삶을 이상화 하려는 모든 사람은 삶을 너무 자세하게 보려고 하지 말아야 하고 언제나 일정한 거리를 두고 자신의 눈을 고정해야 한다. 이러한 요령을 괴테는 알고 있다.화가들은 그림을 바라보는 사람에게 지나치게 면밀하게도 예리하게도 보려하지 말고 일정한 간격을 두고 물러서서 감상하라고 권한다. 이상적인 거리에서 그림을 보면 전체적인 구성요소들의 조화로움을 볼 수 있고 비례와 원근감을 볼수 있으며 작가가 의도한 시각적인 효과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논쟁에 필요한 것 자신의 사상을 얼음 위에 놓는 것을 터득하지 않는 사람은 논쟁의 열기 속에 뛰어 들어서는 안된다. 노노쟁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사상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어야 한다. 논쟁은 서로 의견이 달라서 하는 것이니 논쟁의 목적은 상대방을 설득하거나 이해시키는 것이다. 모순이 생겨서는 안된다. 한가한 사람을 위해서 학자들은 한가함을 부끄러워 한다. 그러나 한가함과 무위는 고귀한 것이다. 명상적 생활의 평가가 저하된 표시로서 학자들은 지금 하나의 성급한 즐거움을 찾아 활동적인 사람과 경쟁하고 있다. 이러한 즐거움을 본래 그들에게 속해있고 사실 훨씬 많은 즐거움이 되는 방식보다 높이 평가하는 듯 보인다. 한가함과 무위는 게으름이 아니므로 명상을 통해서 새로운 것을 시도하고 내면의 목소리를 듣고 내면의 힘을 찾는 시간을 찾아야 한다. 질병의 가치 병으로 누워 있는 사람은 때로는 그가 일상의 자기 직무, 일 또는 사교라는 병에 걸려 있으며 그런 것들로 인해 자신에 대한 사려를 완전히 잃어버리고 있었다는 것을 알아차린다. 그는 질병이 그에게 강요하는 한가함에서 이러한 지혜를 얻게 되는 것이다. 질병은 우리게에 고통을 주지만 그 고통은 우리에게 소중한 교훈을 준다. 몸과 마음이 아프거나 과로로 쓰러졌을 때 평소에 당연하게 여겨쎠던 것들이 얼마나 소중한지 깨닫게 된다. 학문의 미래 학문은 고생하며 탐구하는 자에게는 많은 만족을 주고 그 성과를 배우는 자에게는 아주 적은 만족 밖에 주지 않는다. 그러나 차츰 학문의 모든 중요한 진리는 평범, 비속해지지 않을 수 없으므로 조금 밖에 없는 만족도 없어지고 만다. 고급 문화는 인간에게 먼저 학문을 느끼고 다음에 비학문을 느낄 수 있는 이중의 두뇌, 이른바 두가지 뇌실을 주어야 한다.인간의 뇌는 좌뇌와 우뇌가 서로 다른 기능을 담당한다 좌뇌는 문제를 해결하고 판단하기 위해 우뇌의 감각 정보가 필요하고 우뇌는 창으력을 발휘하기 위해 좌뇌의 논리적 사고가 필요하다. 우정의 균형 우리와 어떤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는 자기편의 저울 접시에 아주 작은 부당함을 얹으면 우정의 올바른 균형이 되돌아 온다. 니체와 바그너는 철학과 음악을 통한 우정을 나누었다. 니체는 이 관계를 별들의 우정이라고 표현하였다. 하지만 바그너의 음악이 그리스도교적 색채가 짙어지는 것에 대해 실망하면서 멀어졌고 니체는 바그너의 음악이 기독교적 성향과 데카당스에 빠졌다 비난했고 바그너도 니체의 철학이 회의적이고 비관적이라면 비판하면서 두 사람의 관계는 단절되었다. 어떻게 설득하는가 용감한 사람들을 설득해 어떤 행위를 시키자면 그 행위를 실제보다도 더 위험하게 보이도록 과장해야 한다. 인간의 힘의 욕구는 생존이나 공격적인 행동을 위해 힘을 과시하는 동물들과 달리 우월해 보이고자 하는 욕구, 힘을 인정받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다. 인간에게 있어서 힘의 욕구는 상대를 이기고자 하는 과정이 힘들고 고통스러울수록 상대가 강하다는 것이기에 힘든 만큼 의미와 가치가 있다. 위험을 감수하고 도전적인 행동을 통해 자신을 용감하고 능력있는 사람으로 인식하려는 긍정적인 욕구라고 볼 수 있다. 자기보다 약한 자들을 손쉽게 괴롭히면서 만족감을 얻는 것은 힘의 욕구라고 볼수없다. 이전 1 2 3 4 5 6 ··· 13 다음